치매
몸에 좋은 red food
술
담배
비만
회전성 어지럼증
비회전성 어지럼
계단오리기
관련 호르몬
말초 전정 장애
중추 병변
메니에르병
미로장애
-오심/구토 억제제
-진정제
-항히스타민
-Atropine
동요성 어지럼 (방향성이 불명확)
평형장애형 어지럼 (걸을때)
실신형 어지럼 (정신이 몽롱해짐)
진동형 어지럼(눈이 아물거림)
편두통형 어지럼
-롬버그 자세
-Mann 검사
-단각기립검사
“아세틸콜린·히포크레틴 같은 호르몬이 렘수면 상태에서 제대로 분비되지 않으면, 뇌에 저장된 기억이 살아나는 과정에 이상이 생겨 끔찍한 장면이 나열될 수 있다”며 “몸이 건강하지 않아 호르몬이 잘못 분비되거나, 뇌 영역이 신경전달물질을 제대로 받지 못해 활성화되지 않으면 악몽을 꾸거나 꿈을 평소보다 많이 꿀 수 있는 것”
-전정 신경염(바이러스 감염)
-양성 돌발성 두위현훈
-미로염
-미로 진탕
-악성종양 전이
-추골 기저동맥 순환부전
-소뇌출혈
-뇌경색
현기증 + 저주파수대 난청
(내림프 수종-< 내림프 흡수장애)
고유감각기 장애
중추 전정질환
-일과성 뇌혈류장애
-부정맥
양측 전정장애
전조성 두통
-개안
-폐안
병변쪽으로 넘어짐
아세틸콜린
히포크레틴(Hypocretin)
The hypocretin/orexin system
신체감각 조절에 도움을 주는 수면발작 관련
뇌단백질
시상하부는 신체의 감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므로 이 단백질이 “신체감각”을 조절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.
-음식이나 물 섭취량 증가,
-각성레벨 상승,
-자발적 운동량 증가,
-교감신경 활성화,
-위산 분비 증가,
-혈중 콜레스테롤 증가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.
Disease conditions
increase in the levels of
-corticotropin
-cortisol,
-insulin
-luteinizing hormone
lowering of
-plasma prolactin
-growth hormone
Low
(may be due to damage to and/or dysfunction of the hypothalamus)
The dense hypocretin projections to
-the noradrenergic,
-serotonin,
-dopaminergic,
-cholinergic, and
-GABA/glutamate
areas of the brain
increase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
increases metabolic rate
Guillain—Barré syndrome
-subarachnoid haemorrhage
-trauma
acoustic schwannoma
depression
bipolar disorder